부산광역시공예협동조합

  • 로그인
  • 회원가입
  • 마이페이지
  • 장바구니
  • 조합소개
  • 부산공예지도
  • GALLERY B
  • 사업신청
    • 2020 공모전 신청접수
    • 2020 개발장려금 신청
  • 공지사항
  • 쇼핑몰
  • 오시는 길

제50회 대한민국공예품대전 부산예선대회 수상작

by busancrafts / 2020년8월 12일, 수요일 / Published in 공지사항, 새소식, 전체 글

 

제50회 대한민국공예품대전 부산예선대회 수상작

주 최 l 부산광역시  

주 관 l 부산광역시공예협동조합

 

※코로나19로 인하여 온라인 전시를 개최합니다.  해당 게시글을 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 합니다.

 

대  상

화양연화(花樣年華) _홍현정

종이분야 / 혼례용품 /한지, 합지, 나무, 백동, 견사, 금분, 동백오일, 옻칠

인생에서 가장 아름답고 행복한 순간을 표현하는 말 – 화양연화! 조선왕실의 포장문화를 재해석 하여 혼례용품을 제작해 보았다. 길상의 의미를 담은 문양의 오방색 상자와 매듭, 보자기를 응용해 현대인의 감성에 맞게 모던한 색감과 문양으로 장식하고 예식이 끝난 후에도 생활용품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수납의 기능을 첨가하고 동백기름과 옻칠로 마감해 내구성을 높였다. 백동장석과 더불어 환희의 의미가 있어 여인과 뗄 수 없는 생쪽매듭으로 고리를 표현하고 영원을 상징하는 당초문양을 현대적으로 디자인해 하단을 장식하고 금박을 입혀 심미성과 함께 기원을 담은 마음을 표현 하였다. 신부의 반짇고리 속에는 작은 색실첩을 넣어 하나의 평면에서 두 개의 공간을 만들고, 곱게 포개진 문을 하나둘 열면 다시 또 다른 비밀공간으로 연결돼 인연과 영원을 표현했다. 귀한 신부에게 두 배의 행복과 기쁨을 주기위해 단아한 외부디자인에 반해 상자 속에는 부귀 영화를 담은 모란꽃밭을 만들었다. (참고문헌-조선왕실의 포장예술, 한눈에 보는 금박, 한눈에 보는 매듭, 종이 박물관)

 

금  상

단 아_장연우

도자분야/합과 화병 초, 아로마꽂이/슈퍼화이트, 안료, 수금

규방공예의 바늘 쌈지를 모티브로 도자기합을 제작하였다. 옛 여인들의 정서를 현대인들의 삶과 함께 하고자 합과 호롱, 촛대, 아로마꽂이 등으로 만들어 보았다.

 

 

 

 

 

 

은  상

한글사랑_김미양

종이분야/의자겸 협탁/한지

전통 공예인 한지공예에 한글 자음과 기하무늬를 문양화 하여 제작하였고, 의자나 협탁으로 사용 할 수 있게 현대적 공예품으로 풀어내 보았다.

 

한글사랑_남기만

목칠분야/사무용/조개패, 원목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이다.’라는 목적으로 만든 공예품으로 한국 고유의 훈민정음을 전통적인 나전기법과 원목조각 상감기법을 적용하여 만들었으며, 누구나 일상생활에 활용 가능하여 실용성과 홍보효과를 두루 갖춘 전통 공예품이다. 전체적으로 기본 디자인은 훈민정음을 활용하였고, 품목은 필함, 명함함, 명함꽂이로 구성(총 10개)되어있다. 조개패 (자개)와 원목을 사용, 패각으로 시문, 상감하여 연출한 은은하고 화려한 자연의 빛이 특징적인 상품이다.

 

 

 

 

 

동  상

한국의 게임 공기목_양형교

목칠분야/놀이도구/나무

고구려시대로부터 전해 내려오던 전통놀이 공기를 나무와 자개를 사용하여 재현하였다. 나무의 속을 파 쇠구슬을 넣어 소리까지 즐거운 K-POP을 넘어 K-GAME으로 오감을 깨우는 친환경 공기목으로 한국의 전통과 문화의 우수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사군자_배양호

목칠분야/접시/원목, 나전, 옻칠

원목 접시에 고결함의 상징인 사군자를 표현하였다. 나전을 끊음질과 타찰기법으로 시문하고, 천연도료인 옻칠을 사용하여 완성한 작품이다.

 

 

 

 

안경집 바늘집_이신자

섬유분야/안경집 바늘집, 노리개용/가죽, 자연염 명주, 자연염 명주실(끈목작업)

본 작품은 안경집으로, 나무를 깎아서 안경 틀을 만들고 그 위에 한지를 덧붙이는 작업을 반복했다. 나무틀에서 떼어낸 안경 틀에 가죽, 자연염 명주 등으로 겉 작업을 하였으며, 직접 다회작업으로 짠 8사 끈은 뚜껑의 고리용으로, 납작한 16사 끈은 딸기술과 함께 안경집의 수술용으로 달아 장식했다. 크기에 따라, 안경을 넣어 사용하는 안경집과, 바늘을 넣어서 보관하거나 노리개처럼 사용 할 수 있도록 제작 하였다.

 

 

 

 

 

 

장 려 상

산사의 불빛_손영옥

도자분야/조명등과 호롱불/도자

사찰의 꽃살문과 단청을 모티브로 하여 조명등과 호롱불을 제작 하였다. 사찰에서 느낄 수 있는 마음의 평온함을 작은 불빛하나에 느낄 수 있기를 소망하여 만들었다.

 

 

십장생문 뒤주_최문선

종이분야/곡식 보관/도자한지,합지

호암 미술관에 소장되어있는 내부가 두 칸으로 나뉘어져 있는 목재뒤주(177*83.5*109.5 cm)를 축소하여 제작한 후 장수의 의미를 담은 십장생문으로 장식하여 한지공예의 화려함을 더 해 보았다. 문 앞에 뒤주를 두어 배고픈 이웃이 없기를 바란 선조의 여유를 다시 한 번 새겨보았다.

 

 

물고기 시리즈_이종철

목칠분야/장신구 함/원목, 자개, 옻칠

나전칠기의 3차원 공전과 수 십 번의 기법으로 사대부 여인들의 귀중품인 좌경대, 빗접구절함 등을 내부엔 삼베를 바르고 주칠 마감. 나전의 전통문양인 국화문 원패를 입체적으로 조각하여 옻칠로 마감한 제품이며, 작품명은 물고기 시리즈이다.

 

 

경 대_박수진

종이분야/좌식거울과 서랍장/한지, 합지

3mm합지로 골격을 재단하고 한지를 2번 바른 후 수작업으로 문양을 제작하여 완성한 작품이다. 번영과 창성, 아름다움과 행복을 상징하는 모란문양을 이용해 작품 전체를 은은하고 화려하게 장식한 후 황동장석을 이용해 고급스러움을 더했다. 유래 없이 힘든 봄과 여름을 보내는 사람들에게 잠깐의 휴식과 행복을 전하고 싶었다.

 

 

차향에 핀 꽃_김현우

목칠분야/차도구/나무, 옻칠

천연 옻칠로 제작한 차도구로 차향이 주는 향기를 심미적으로 묘사한 작품이다.

 

 

 

 

 

 

특      선

분청사기 백금 무궁화문 다기세트_이승민

도자분야/차그릇/분청토

우리나라 도자기인 분청사기에 우리나라 국호인 무궁화를 채색하고, 여백 부분은 백금으로 표현하였다.

 

 

 

여심<매화뒤꽂이>_박은진

기타분야/뒤꽂이/염색모발

매화를 주제로 하여 우리나라 여인의 전통 장신구를 제작했다. 비녀나 뒤꽂이는 긴 머리를 올리거나 관이나 가체 등을 머리에 고정시키기 위해 필요한 장신구로서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형태의 뒤꽂이를 제작하였다. 또한 실용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현대와 고전이 어우러지는 전통한복과 개량한복 등의 착용 시, 헤어스타일에 우아함과 화려함을 나타낼 수 있도록 염색모발과 보석, 비즈 등을 활용하여 뒤꽂이의 아름다움에 집중하여 제작하였다.

 

 

函(함)_남현숙

종이분야/물품보관용/한지, 합지

다용도 보관함을 다양한 각을 이용하여 원형, 사각형, 육각형으로 구성하여 다양하게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계열의 색을 역으로 사용하여 세트를 구성하였다.

 

 

 

선물_유창오

섬유분야/브로치, 목걸이/천연염색 누에고치, 실크

천연염색을 한 누에고치와 실크에 바느질을 이용하여 조형물을 만들고, 철재와 비즈를 이용하여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다.

 

 

 

도장함_전미주

종이분야/도장이나 귀중품 보관용도/한지,합지

전통의 보석함과 도장함을 재해석하여 현대생활에서 도장함 용도 외에 귀중품 보관 용도나 장식용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디자인하여 제작하였다.

 

 

 

분청 다도구 세트_이현주

도자분야/다구세트/분청토, 화장토, 투명유

분청도자의 투박함을 보여주는 다도구 세트 이다.

 

 

 

복_김내은

도자분야/조명등/백자

한국 정서에 기반 하는 안녕을 기원하며 행복하고 건강한 삶의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는 작품이다.

 

 

 

실타래의 꿈_김경은

섬유분야/보관함/실크실, 실크원단

한국전통자수를 놓을 때처럼 실크실을 꼬아 굵기를 조절하여 수를 놓듯 한 올 한 올 감아 만든 보관함 이다. 각 작품의 테마에 맞게 엮어낸 실들은 닮은듯 하면서도 하나하나 다른 얼굴을 하고 있다. 실크고유의 광택과 색상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기품 있는 한국 전통의 색을 표현하였으며 오랜 시간 곁에 두면서 그 안에 담긴 소중한 물건의 가치를 더욱 높여주는 보관함으로 공간의 품격을 높이는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활용가능하다.

 

 

 

동백나무와 자작나무_이경미

섬유분야/가방과 브로치/천연염색 무명원단, 자수전용 면사, 아트실, 자개비즈

천연염색 쪽, 먹, 감으로 염색한 무명원단에 동백나무와 자작나무를 입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쥬흐모던나무기법으로 제작하였다.

 

 

 

백자 청화 동백문 다기 풀 세트_강무창

도자분야/다기/도토, 청화

차를 마시는데 가장 즐겨 사용하는 도자기는 백자이다. 그중에서도 청화백자는 오랜 기간 동안 차인들로 부터 사랑받아오던 도자기이다. 여기에 기존의 산수문 대신에 부산의 상징인 동백문을 시문함으로써 부산의 대표 공예품으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

 

 

 

옛 바느질의 매혹적 자태_곽영미

섬유분야/옛 바느질 도구 제현 및 유리탁자 아래 장식/본견: 모본단, 무명, 모시

옛 바느질 도구를 만들어 봄으로써 우리 것의 소중함과 아련한 정취를 느껴보았다. 현대적 느낌을 가미하여 실생활에서도 사용가능한지 확인해 보았다. 허나 요즘에는 편리한 제품 또한 있으니 유리 탁자 아래나 장식품으로 손색이 없다.

 

 

 

색동무늬 서표_하재은

섬유분야/책갈피/모보단, 색동무늬 원단

읽던 곳이나 필요한 곳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책장 사이에 끼워두는 서표를 한국전통 원단인 모보단과 색동무늬 원단을 사용하여 제작하였고, 매듭 끈과 비취로 장식하였다. 긴직사각형 서표는 모보단의 화려한 색상의 원단위에 색동 무늬로 포인트를 주었다. 삼각서표는 책장의 모서리에 끼우는 방식으로 종이접기 방식을 응용하였고, 미니 삼각서표는 한국전통 색상인 오방색을 표현하였다.

 

홍두깨명주 목도리_황진실

섬유분야/목도리,가방손잡이,머리띠/홍두깨명주

홍두깨명주의 보드랍고 은은한 광택이 기품 있는 선을 준다. 기러기매듭을 사이에 주어 귀여움을 주고 꼬집어 감치기로 청초함을 주었으며 조각을 이어서 단아함을 주었다.

 

 

 

 

 

 

입      선

빼꼼 컵_안소영

목칠분야/컵/나무, 자개, 옻칠

백곰들이 주인공으로 빼꼼히 쳐다보고 컨셉의 컵이다. 물푸레 나무의 컵에 옻칠로 마감 했다. 자개로 빙하를 표현, 목분으로 쌓인 눈을 표현했다.

 

 

 

연화문 과반_홍미경

종이분야/다용도 받침대/한지, 합지

차, 음식 이동 받침대로 활용 가능하며, 행사시에는 상장을 수여하는 상장 받침대로도

활용가능하다.

 

 

 

작은 서랍장_권현주

종이분야/작은 소품 수납/한지, 합지

합지를 이용해 기본 골조를 만든 후 한지로 마감한 작품이다. 작은 소품 등을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수 연화도를 응용한 모시 창 가리개_박소현

섬유분야/모시 창 가리개/모시, 견사, 자수색 실면사

민화 연화도를 자수로 응용해 바느질 기법인 쌈솔과 접목해 모시 창 가리개를
제작하였다.

 

 

 

야생화문 수저받침 세트_구라조

도자분야/수저받침/백자토, 산백토, 핸드페인팅 물감

달항아리와 다완 형태에 야생화 문양을 넣어 수저받침이라는 실용성과 더불어 작은 소품으로서의 용도를 갖추도록 제작하였다.

 

 

 

 

가야금 연주_박봉덕

종이분야/전시용/한지

우리나라의 전통한지 위에 수를 놓아 아름다운 무늬를 살렸다. 한국의 전통 악기인 가야금을 연주하는 여인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장식품이다.

 

 

 

꽃 소반_송지현

기타분야/찻상/나무, 한지, 옺칠, 모시, 자개, 압화

다반향초:차(茶)를 마신 지 반나절(半–)이 되었으나 그 향(香)은 처음(初)과 같다는 뜻으로,

늘 한결같은 원칙(原 則)과 태도(態 度)를 중시(重 視)해야 한다는 뜻을 나타낸다.

 

 

 

동백고등어_정지연

금속분야/벨트/순은, 순동

부산상징의 동백꽃과 고등어를 모티브로한 현대와 전통이 어우러진 디자인으로 제작하였으며, 고급스러우면서 실용적인 부산관광상품의 공예품 벨트이다. 제작방식은 주물 없이 순수 손으로 두드려 만들었으며, 동과 순은을 여러 판 겹쳐 반복해 두드려 작업하여 부산의 파도 이미지를 그림 같은 느낌이 나게 제작해보았다.

 

 

한지한복인형_박옥희

종이분야/한지 닥종이 한복인형/한지 닥종이

한복인형: 전통한지로 한복을 차려입은 일상의 모습을 재현하여, 전통스러움을 갖춘 민속 인형 장식품을 제작하였다. 한복인형 공예품을 통해 우리의 옛것을 되살리고 민속인형 상품으로 공예 상품 판매를 추구하면서 전통미를 공유하고자 한다. 잊혀져가는 옛것을 현대 생활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하면서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전통종이 인형에 한복을 입혀서 장식품으로 제작하였다.

 

감투할미(골무)의 향연(饗宴)_권정아

섬유분야/규방소품/삼베, 명주, 홍두깨명주, 면사, 실크매듭실

규중칠우 쟁론기에 나오는 규중칠우(閨中七虞)로 부녀자가 바느질을 하는데 필요한 침선(針線)의 7가지 물건인 바늘, 실, 골무, 가위, 자, 인두, 다리미중 하나인 골무를 사용하여 현대에서도 전통 소품이 현대 소품으로 자리매김을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면사를 정성스럽게 꼬아 고정한 뒤 다양한 홍두깨 명주 천으로 예쁘게 배치하고 견사와 지누사로 상침 및 새발뜨기 같은 전통바느질로 장식 해 준다음 사뜨기로 마무리한 경상도 골무이다. 골무와 함께 실크 매듭실로 전통 매듭인 도래매듭. 병아리매듭, 나비매듭을 어우러지게 엮어서 만들었다. 우리나라 향연의꽃인 전통 부채춤의 마지막 하이라이트에 펼쳐진 부채 꽃모양으로 표현한 규방 소품이다.

 

 

 

※코로나19로 인하여 온라인 전시를 개최합니다.  해당 게시글을 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 합니다.

 

 

 

 

 

부산광역시공예협동조합 | 대표: 정 계 화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APEC로 55(우동, 벡스코내지하 1층)

사업자등록번호: 604-82-01281 | Tel. 051-740-7588, 7595 | Fax. 051-740-7589 | Mail. busancrafts@busancrafts.com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 계 화
통신판매업 신고 : 제 2018-부산해운대-0874호 [사업자정보확인]   | 호스팅 제공자 :  심플렉스인터넷(주)

TOP